Windows Media Encoder 720p 인코딩하기

Posted by Programmer™
2015. 9. 21. 15:59 Utility

 

 

 다운로드 (32비트용 English ): WMEncoder_v9.0.exe

 

 다운로드 (32비트용) Korean ): WMEncoder_Kor.exe

 


64 비트는 아래 주소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v10.00.00.3809 (x64)

http://download.microsoft.com/download/0/5/1/05150d9b-59dd-453c-8483-d618cec12b12/WMEncoder64.exe

(Last-Modified: Mon, 30 Oct 2006 21:13:09 GMT)



Windows 10 64 bit 에서 설치하려면 약간의 수작업이 필요합니다.

WMEncoder64.exe /C /T:"G:\Extracted"

WMEncoder64.msi 를 실행시켜 설치합니다. 중간에 메시지 박스가 뜨지만 그냥 무시하고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Convert a file 을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Browse...를 클릭하여 변환하고자 할 동영상 파일을 선택해줍니다. 

 

 

다음(N) 을 클릭합니다.

 

 

Windows Media hardware profiles 를 선택합니다.

 

 

적절하게 내용을 선택합니다.

 

 

아래는 각 프로파일을 선택했을때 만들어지는 값입니다.

 

 선택한 프로파일

 비트레이트

 주파수

                   비            고

 L1 (CBR)

 96 Kbps

 44 kHz

  stereo CBR (uses the Windows Media Audio 9.2 codec)

 L2 (CBR)

 160 Kbps

 48 kHz

  stereo CBR  (uses the Windows Media Audio 9.2 codec)

 L3 (CBR)

 320 Kbps

 44 kHz

  stereo CBR (uses the Windows Media Audio 9.2 codec)

 S  (CBR)

 20 Kbps

 22.05 kHz 

  mono

 M1 (CBR)

 384 Kbps

 48 kHz

  5.1 channel 24bit CBR

 M2 (CBR)

 768 Kbps

 96 kHz

  5.1 channel 24bit CBR

 

 

 

 

 

 

 

 

위의 화면에서 Audio 부분의 비트레이트를 바꾸어주고 싶다면 Begin converting when I click Finish 앞의 체크 표시를 없애주고 마침을 눌러줘야 합니다.

 

오디오 부분의 비트레이트를 바꾸어주기 위해 체크표시를 해제하고 마침을 누릅니다.

그리고 메뉴 아래에 있는 Properties 를 클릭합니다.

 

 

 

 

 

 

 

Video smoothness: 0 :smoothest  100 :Sharpest

큰 숫자일수록 화면은 선명해 지지만 대신 화면의 끊김이 생길 수 있으며 작은 숫자일수록 움직임은 부드러운 대신 선명도는 떨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이 아닌 로컬 컴퓨터 자체에서 재생할 생각이라면 화질이 좋은 100으로 해주는게 좋습니다.

참고로 100 으로 놓고 인코딩을 했더니 0 으로 놓고 인코딩한 값보다 1 MB 정도 파일 크기가 커졌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전부 (Custom) 으로 바뀌어야 정상입니다.

반드시 잊지 말고 Apply 버튼을 클릭해줍시다.

 

 

Start Encoding 을 클릭하고 이제 끝날때까지 느긋이 기다립니다.

 

 

 

 

 

 인코딩이 끝나면 다음 화면이 표시됩니다.

 

 

skylake i5-6600 으로 인코딩한 결과입니다. 1시간 3분 53초 걸렸네요.

 

윈도우7 폴더 공유하기

Posted by Programmer™
2015. 9. 20. 16:00 Windows 7, 8

D 드라이브에 있는 TEMP 폴더를 공유해보기로 하자. (가급적 시스템 드라이브에 있는 폴더는 공유하지 않는 게 좋다.)

 

 

마우스 우측을 클릭하여 속성(R)을 클릭한다.

 

 

공유 탭으로 이동 후 공유(S)... 를 클릭한다.

 

 

여기서 공유할 사람을 추가해주면 되는데, 특정 아이디를 추가해도 되고,

아니면 그냥 편안하게 일시적인 공유를 할려면 Everyone 을 선택하고 추가(A) 버튼을 클릭한다.

 

 

사용 권한 수준을 여기서 적절하게 선택해준다. 상대쪽에서 내 폴더에 접근하여 복사해가게끔만 하고자 한다면 읽기를 선택하면 된다.

상대쪽에서 내 폴더에 자료를 올리고자 한다면 읽기/쓰기를 선택해줘야 한다.

 

 

사용 권한 수준 선택이 끝났으면 공유(H) 버튼을 클릭한다.

 

 

 

 

 

 

여기서 암호 보호 공유 끄기를 선택해준다. 켜져 있으면 좀 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윈도우7 PE 만들기 (1)

Posted by Programmer™
2015. 9. 20. 08:52 Windows 7, 8

 

 

Windows PE 3.1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준비할게 몇가지 있습니다.

 

먼저 마이크로소프트 다운로드 센터에서 다음 3개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1. Windows® 7용 Windows® AIK(자동 설치 키트)

KB3AIK_KO.iso   1.63 GB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5753

 

StartCD.exe 를 실행시켜 설치합니다. 가급적이면 설치폴더를 변경하지 말고 그대로 설치하는게 좋습니다.

 

 

 

2. Windows® 7 SP1용 Windows® AIK(자동 설치 키트) 추가 기능 

waik_supplement_ko-kr.iso  1.30 GB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5188

 

KB3AIK_KO.iso 의 설치가 끝났으면 이제 추가 기능을 설치해줘야 합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cmd.exe 실행시킨후 xcopy E:\ "C:\Program Files\Windows AIK\Tools\PETools" /ERDY 를 입력합니다.

여기서 E:\는 waik_supplement_ko-kr 가 들어있는 드라이브입니다.

 

복사가 끝나면 1131개 파일이 복사되었습니다. 란 메시지가 나옵니다.

 

 

 

3. Windows 7용 Windows 자동 설치 키트 설명서(2010년 5월 업데이트)

AIK_Windows7_ko-KR_072010.zip

https://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2458

 

여기에 관련 내용이 전부 다 나와 있습니다.

 

4. Windows 7 정품  DVD 디스크 혹은 이미지 파일.

 


설치 디렉터리 설명

용어

  정의

 \Docs

 온라인 도움말(.chm) 파일과 백서가 들어 있습니다.

 \Recovery

 Windows 복구 관련 파일이 들어 있습니다.

 \Samples

 Windows OPK 또는 Windows AIK의 모든 샘플이 들어 있습니다.

 \SDKs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리소스가 들어 있습니다.

 \Tools

 Windows SIM, Windows PE 및 ImageX를 비롯한 모든 배포 도구가 들어 있습니다.





 

Create WinPE Using WAIK for Windows 7

http://www.utilizewindows.com/7/deployment/186-create-winpe-using-waik-for-windows-7

 

스카이레이크 i5-6600

Posted by Programmer™
2015. 9. 18. 06:45 Hardware

 

CPU-Z 다운로드 :  http://www.cpuid.com

 

이번에 나온 스카이레이크 CPU-Z 정보입니다. 혹시 구매하실 분들 참고하시는데 도움될 것 같아 올려드립니다.

램은 그냥 8기가 짜리 양면 하나입니다.

 

간단한 특징을 살펴보면

이번 6 세대부터 DDR4 램이 지원되기 시작했습니다. 14 nm 공정이 사용되었구요.

최대 메모리 지원이 64 GB 까지로 늘어났습니다. 4K 해상도가 지원되구요.

그리고 1151 소켓이기 때문에 메인보드와 램은 전부 새로 사야합니다.

 

 

 

 

 

듀얼 채널로 구성해야 속도가 빠르지만, 부득이하게 Windows 7 32비트를 사용해야 하는 관계로

그냥 8 GB 짜리 하나만 구매했습니다. 4 GB 짜리로 구매할까 생각도 해봤지만

나중에 64비트 업그레이드를 생각해서 그냥 8 GB로 고고~

 

 

메모리 슬롯이 4개 여서 16 GB x 4 = 최대 64 GB 까지 사용가능합니다.

 

 

뛰어난 성능은 아니지만 그냥 무난한 샘숭 메모리로 장착했습니다.

 

 

기가바이트 홈페이지에는 Maximum shared memory of 512 MB 로 나와있지만

CPU-Z 에서는 1024 MB로 나오네요.

 

 

 

 

 

PassMark 벤치마크 정보입니다.

SSD 를 안 쓰고 HDD 를 단 관계로 점수가 안 나옵니다. Kaspersky Internet Security 2015 설치된 상태에서의 벤치마킹입니다.

메모리는 8기가 였지만 32비트 운영체제의 인식문제로 2기가로 표시되더군요.

 

http://www.passmark.com/baselines/V8/displayBaseline.php?id=47522960937

 

메인보드 정보는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gigabyte.com/products/product-page.aspx?pid=5491#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