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775 CPU 쿨러

Posted by Programmer™
2014. 2. 27. 22:48 Hardware

쿨러없는 775 CPU를 하나 분양받았다. 기존에 쓰던 CPU 쿨러를 빼서 장착하려고 보니 세월이 세월인지라 쿨러 푸쉬핀이 노후되어 부러져버렸다. "머~ 대충 쓰지 ~" 하면서 조립을 했는데 이게 웬일?

컴퓨터 전원을 인가하면 몇 초 지나지 않아 꺼져버리는 거였다. 처음에는 분양받은 CPU가 문제인줄 알았다. (사실 CPU는 핀이 부러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고장나지 않는다.) 그런데 알고보니 쿨러 푸쉬핀이 하나 부러져서 그 부분이 밀착이 안되 열을 식혀주지 못하는 거였다. 원래 쓰던 531 CPU (32비트만 지원) 장착 후에도 컴퓨터가 꺼져버리는 문제가 똑같이 발생해 쿨러문제임을 알게 되었다. 쿨러핀만 파는가 해서 옥션을 일단 뒤져보았다. 검색어는 "Push Pin" . ㅋㅋ 근데 가격이 2000 원이다. 플라스틱 쪼가리가 이렇게 비싸다니.. 775 쿨러는 얼마한가 뒤져보니 2500 원. ㅋㅋ 그냥 쿨러사기로 결정.

쿨러 2500 원 + 택배비 2500 원 = 5000 원 (지방에 살면 택배비는 어쩔 수 없다.) 

핀은 아래 사진에서 보이는 대로 4PIN 이고, 쵸코파이형(=슬림형)은 아니고 두꺼운 타입(펜티엄 D 전용)이다.

하단 써멀 패드 부분이 구리 부분으로 되어 있어 알루미늄보다 열전도율이 훨씬 좋다. 지금까지 출시된 CPU중 펜티엄 D 가 가장 발열 온도가 높다. 즉 바꿔말하면 펜티엄 D 에서 사용되는 쿨러가 가장 효율이 좋다는 말이 된다. 흔히 정품 CPU 의 경우 쿨러 하단 부분이 구리로 되어 있고, 벌크 제품의 경우는 하단 부분이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다.

장착시 CPU에 써멀 컴파운드 바르는 것 잊지 말자. 써멀 컴파운드를 바르면 온도가 5~7 도는 더 내려간다. 사진은 멈춰있는 것처럼 나왔는데 지금 CPU 팬이 돌고 있다.

Del 키를 눌러 BIOS 로 진입후 CPU 온도 확인 화면이다. 현재 CPU 온도가 45도, 1674 RPM 이다.

이제 꺼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잘 동작한다. ㅎㅎㅎ

Adobe Flash Player v12.0.0.77 (Released 2014.03.11)

Posted by Programmer™
2014. 2. 21. 10:37 Utility

인터넷 익스플로러용 (for ActiveX)
http://download.macromedia.com/pub/flashplayer/current/support/install_flash_player_ax.exe

http://fpdownload.macromedia.com/pub/flashplayer/latest/help/install_flash_player_ax.exe

 install_flash_player_ax_v12.0.0.77.sfx.part1.exe

 install_flash_player_ax_v12.0.0.77.sfx.part2.rar

SHA1: a410637349ab43ae08e33466da67fff76a6934ed  CRC32: 4e4667be

 

파이어폭스등 기타 브라우저용 (All other browsers)

install_flash_player_v12.0.0.77.sfx.part1.exe

install_flash_player_v12.0.0.77.sfx.part2.rar

SHA1: 5c265ebce54854885c860aa7f81466d4267923f6  CRC32: 38cfbe14

 

http://download.macromedia.com/pub/flashplayer/current/support/install_flash_player.exe

 

March 11th, 2014 (v12.0.0.77)
-------------------------------------------------
Flash Player Bugs

 

  • Stability and security Fixes

 

February 20th, 2014 (v12.0.0.70)
-----------------------------------------------
AIR Bugs

-[3686074] [iOS] New apps and app updates submitted to the App Store must be built with the latest version of Xcode 5 from Feb1

-[3681788] [Android] The CCJ languages characters are displayed as blank box on the TextField.

-[3697917] [iOS] "The input line is too long." error thrown when app packaged with "-useLegacyAOT no"

Flash Player Bugs

-[3680211] [IE11 Win7] Flash now renders correctly on a page with both WebGL and Flash content playing simultaneously
-[3685519] [Win8] Context Menus triggered by the software keyboard's Menu key on Windows 8.x now work correctly in Modern mode
-[3691916] [Installer] Resolved an issue where SCUP/CUPT catalog configuration was detecting Flash Player updates as available when users had the current version installed
-[3684347] [Video] Resolves an issue injected in Flash Player 11.9.900.170 that caused Flash IP-Multicast playback issues on Internet Explorer 9 and 10 on Windows 7
-[3689061] [Video] Resolves an issue injected in Flash Player 11.9.900.170 that caused the video buffer to no longer be filled if the buffer was emptied while playing an RTMP stream

February 4th, 2014 (v12.0.0.44)
---------------------------------------------
Flash Player Bugs

-Security Fixes

System requirements Windows
----------------------------------------------------
-2.33GHz or faster x86-compatible processor, or Intel® Atom™ 1.6GHz or faster processor for netbooks
-Microsoft® Windows® XP (32 bit), Windows Server 2008 (32 bit), Windows Vista® (32 bit),
 Windows 7 (32 bit and 64 bit), Windows 8 (32 bit and 64 bit), or Windows Server 2012 (64 bit)
-Internet Explorer 8.0 or later, Mozilla Firefox 17 or later, Google Chrome, or Opera 11
-512MB of RAM (1GB of RAM recommended for netbooks); 128MB of graphics memory

지워진 파일 복구하기

Posted by Programmer™
2014. 2. 10. 05:53 Utility

실수로 삭제된 파일을 복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WinHex 로도 복구할수 있는데, 그보다는 훨씬 직관적인 NTFS Undelete_v0.94 (프리웨어)를 추천한다. 최신 버전은 인터페이스도 별로일뿐만 아니라, 쉐어웨어로 바뀌었다. 

 

ntfsundelete_v0.94_Portable.zip

 

Windows7 성능 올리기

Posted by Programmer™
2014. 2. 10. 01:49 Windows 7, 8

 

Windows 7  성능을 올려보겠다. 필자의 경우  CPU 는 T7600 인데 그래픽 카드가 ATI RADEON 200M 이기 때문에, 우선 다른 부분은 제쳐놓고, 비디오 부분에 관련된 부분만 손 댈 것이다. 이 부분만 잘 만져주어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응답을 중지하고 복구됨" 의 발생 횟수가 줄어든다.

 우선 윈도우 시작 버튼에서 컴퓨터(System)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속성(Properties)을 선택한다.

왼쪽에 있는 "고급 시스템 설정(Advanced System Settings)"을 선택한다.

 "성능(Performance)" 부분에 있는 설정(Settings)을 선택한다.

 그러면 아래 화면의 시각 효과(Visual Effects)를 볼 수 있다. (필자의 최종 설정 내용임)

내 컴퓨터에 가장 좋은 설정을 자동으로 선택(L) : 컴퓨터가 알아서 선택해주는데 필자의 경우는 작업 표시줄 축소판 그림 미리 보기 저장만 해제시켜 주었다. (Let Windows choose what's best for my computer)

최적 모양으로 조정(B) : 전부 선택되어 진다. (Adjust for best appearance)

최적 성능으로 조정(P) : 전부 해제되어 진다. (Adjust for best perfomance)

사용자 지정(C) : 사용자가 선택 설정한다. (Custom)

이제 각 항목들을 선택하면 어떻게 바뀌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 도구 설명에 시각 효과 사용 (Fade or slide ToolTips into view)
  • 마우스 포인터 아래 그림자 표시 (Show shadows under mouse pointer)
  • 마우스로 끄는 동안 창 내용 표시 (Show window contents while dragging)
  • 메뉴에 시각 효과 사용 (Fade or slide menus into view)
  • 미끄러지듯 열리는 콤보 상자 (Slide open combo boxes)
  • 바탕 화면 구성 사용 (Enable desktop composition)

이 부분을 해제하면 상당한 성능 향상을 느낄 수 있다. 이 부분이 선택되어 있으면 "Aero Peek 사용(Enable Aero Peek)"과 "투명효과 사용(Enable transparent glass)"이 표시되지만, 해제되어 있으면 나타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응답을 중지하고 복구됨" 메시지가 자주 나온다면 이 부분을 해제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탕화면 구성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바탕화면 구성을 사용한 경우

 

  • 바탕 화면의 아이콘 레이블에 그림자 사용 (Use drop shadows for icon labels on the desktop)

 바탕 화면의 아이콘 레이블에 그림자 사용 하지 않은 경우

 바탕 화면의 아이콘 레이블에 그림자 사용 한 경우

 

  • 아이콘 대신 미리 보기로 표시 (Show thumbnails instead of icons)

 아이콘 대신 미리 보기로 표시 사용하지 않은 경우

 아이콘 대신 미리 보기로 표시 사용한 경우

 

  •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에니메이션 (Slide taskbar buttons)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에니메이션 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마우스 커서 이동해도 그대로이다)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에니메이션 을 사용한 경우 (마우스 커서 이동에 따라 바뀐다.)

 

  • 작업 표시줄 축소판 그림 미리 보기 저장 (Show preview and filters in folder)
  • 창 및 단추에 시각 스타일 사용 (Use visual styles on windows and buttons)

 창 및 단추에 시각 스타일 사용 하지 않은 경우

 창 및 단추에 시각 스타일 사용 한 경우

 

  • 창 아래에 그림자 표시 (Show shadows under menus)
  • 창을 최소화하거나 최대화할 때 애니메이션 (Animate windows when minimizing and maximizing)
  • 창의 제어 및 요소에 애니메이션 효과 주기 (Animate controls and elements inside windows)

               파일 복사할때 나오는 프러그레스 바 등의 애니메이션 효과 설정이다.

 창의 제어 및 요소에 애니메이션 효과 주기 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창의 제어 및 요소에 애니메이션 효과 주기 를 선택한 경우 (오른쪽 윗부분에 에니메이션이 보인다.)

 

  • 천천히 스크롤되는 목록 상자 (Smooth-scroll list boxes)
  • 클릭 후 메뉴 항목 천천히 지움 (Fade out menu items after clicking)
  • 투명한 선택 사각형 표시 (Show translucent selection rectangle)

 투명한 선택 사각형 표시 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투명한 선택 사각형 표시 를  선택한 경우

 

  • 화면 글꼴의 가장자리 다듬기 (Smooth edges of screen fonts)

폰트 사이즈가 큰 경우 글꼴의 외곽선에 계단현상이 일어나는 현상을 다듬어준다. 하이퍼쓰레딩 CPU의 Enable 상태에서, 이 부분이 켜져있는 경우  동영상 플레이시 다운을 일으키기도 한다고 한다.

 화면 글꼴의 가장자리 다듬기 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화면 글꼴의 가장자리 다듬기 를  선택한 경우

 

레지스트리는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ExplorerExplorer\VisualEffects

에 저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