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워진 파일 복구하기
실수로 삭제된 파일을 복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WinHex 로도 복구할수 있는데, 그보다는 훨씬 직관적인 NTFS Undelete_v0.94 (프리웨어)를 추천한다. 최신 버전은 인터페이스도 별로일뿐만 아니라, 쉐어웨어로 바뀌었다.
ntfsundelete_v0.94_Portable.zip
실수로 삭제된 파일을 복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WinHex 로도 복구할수 있는데, 그보다는 훨씬 직관적인 NTFS Undelete_v0.94 (프리웨어)를 추천한다. 최신 버전은 인터페이스도 별로일뿐만 아니라, 쉐어웨어로 바뀌었다.
ntfsundelete_v0.94_Portable.zip
Windows 7 성능을 올려보겠다. 필자의 경우 CPU 는 T7600 인데 그래픽 카드가 ATI RADEON 200M 이기 때문에, 우선 다른 부분은 제쳐놓고, 비디오 부분에 관련된 부분만 손 댈 것이다. 이 부분만 잘 만져주어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응답을 중지하고 복구됨" 의 발생 횟수가 줄어든다.
우선 윈도우 시작 버튼에서 컴퓨터(System)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속성(Properties)을 선택한다.
왼쪽에 있는 "고급 시스템 설정(Advanced System Settings)"을 선택한다.
"성능(Performance)" 부분에 있는 설정(Settings)을 선택한다.
그러면 아래 화면의 시각 효과(Visual Effects)를 볼 수 있다. (필자의 최종 설정 내용임)
내 컴퓨터에 가장 좋은 설정을 자동으로 선택(L) : 컴퓨터가 알아서 선택해주는데 필자의 경우는 작업 표시줄 축소판 그림 미리 보기 저장만 해제시켜 주었다. (Let Windows choose what's best for my computer)
최적 모양으로 조정(B) : 전부 선택되어 진다. (Adjust for best appearance)
최적 성능으로 조정(P) : 전부 해제되어 진다. (Adjust for best perfomance)
사용자 지정(C) : 사용자가 선택 설정한다. (Custom)
이제 각 항목들을 선택하면 어떻게 바뀌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이 부분을 해제하면 상당한 성능 향상을 느낄 수 있다. 이 부분이 선택되어 있으면 "Aero Peek 사용(Enable Aero Peek)"과 "투명효과 사용(Enable transparent glass)"이 표시되지만, 해제되어 있으면 나타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응답을 중지하고 복구됨" 메시지가 자주 나온다면 이 부분을 해제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탕화면 구성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바탕화면 구성을 사용한 경우
바탕 화면의 아이콘 레이블에 그림자 사용 하지 않은 경우
바탕 화면의 아이콘 레이블에 그림자 사용 한 경우
아이콘 대신 미리 보기로 표시 사용하지 않은 경우
아이콘 대신 미리 보기로 표시 사용한 경우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에니메이션 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마우스 커서 이동해도 그대로이다)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에니메이션 을 사용한 경우 (마우스 커서 이동에 따라 바뀐다.)
창 및 단추에 시각 스타일 사용 하지 않은 경우
창 및 단추에 시각 스타일 사용 한 경우
파일 복사할때 나오는 프러그레스 바 등의 애니메이션 효과 설정이다.
창의 제어 및 요소에 애니메이션 효과 주기 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창의 제어 및 요소에 애니메이션 효과 주기 를 선택한 경우 (오른쪽 윗부분에 에니메이션이 보인다.)
투명한 선택 사각형 표시 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투명한 선택 사각형 표시 를 선택한 경우
화면 글꼴의 가장자리 다듬기 (Smooth edges of screen fonts)
폰트 사이즈가 큰 경우 글꼴의 외곽선에 계단현상이 일어나는 현상을 다듬어준다. 하이퍼쓰레딩 CPU의 Enable 상태에서, 이 부분이 켜져있는 경우 동영상 플레이시 다운을 일으키기도 한다고 한다.
화면 글꼴의 가장자리 다듬기 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화면 글꼴의 가장자리 다듬기 를 선택한 경우
레지스트리는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ExplorerExplorer\VisualEffects
에 저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