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도 변경을 한방에~

Posted by Programmer™
2014. 4. 10. 22:38 Utility

윈도우를 사용하다 보면 해상도 변경을 빠르게 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 때 "시작 - 설정 - 제어판 - 디스플레이 - 설정"으로 일일이 하나하나 클릭하기는 번거롭다.

이럴때 바탕화면에 아이콘 하나 만들어 두고 한번 클릭으로 해결하면 더 이상 좋을수는 없다.

이것을 하기 위해서는 NirCmd 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2000, XP, 7, 8 모두 지원한다.)

 - 32비트용:

nircmd_v2.86.zip
0.12MB

 - 64비트용:

nircmd-x64_v2.86.zip
0.15MB

 

압축파일 안에 있는 NirCmd 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켜 Copy to Windows Directory 를 클릭해주면 사용할 준비는 끝난다.

그리고 cmd 창을 뛰우고 아래 명령을 입력하면 바탕화면에 바로가기가 하나 생긴다. 이때 주의할 점은 디스플레이 - 설정에서 지원되는 해상도이어야만 한다. 

nircmd.exe cmdshortcut "~$folder.desktop$" "1280x1024x32" setdisplay 1280 1024 32

nircmd.exe cmdshortcut "~$folder.desktop$" "1024x768x32" setdisplay 1024 768 32

그냥은 밋밋해서 보기 싫으니 여기에 아래 아이콘을 연결해보자.

1397001077_128p.ico
다운로드

위에 아이콘을 먼저 오른족 클릭해서 다운받아 저장해놓는다. 그리고 새로 생긴 바로가기 아이콘을 오른쪽 클릭해서 속성을 선택한다.

 아이콘 변경을 누른다.

여기서 자기가 마음에 드는 아이콘이 있으면 선택해줘도 된다. 마음에 드는 아이콘이 없는 경우 찾아보기(B)를 클릭해서 지정해주면 된다. 우리는 아까 저장해놓았던 아이콘 파일을 선택해주자.

 

그러면 위의 화면과 같이 바뀌게 된다. 이제 바탕화면에 있는 바로가기 한방으로 해상도 변경을 할수 있게 되었다.

 

Ghost v11.5 옵션에 대하여...

Posted by Programmer™
2014. 4. 6. 23:01 Utility

Symantec Ghost 스위치 정보


■ ghost.exe -h
■ ghost.exe -?

About_Ghost_Switch.pdf(한글판 문서)

출처] 싸이만텍 유령 홈페이지

 

 

 

Hiren's BootCD 15.2 - 한글 메뉴 지원 -

Posted by Programmer™
2014. 3. 29. 04:26 Utility

컴퓨터 좀 하시는 분들이라면 다들 하나씩 가지고 있는 유틸리티 CD입니다.

Hiren's BootCD 는 그냥 CD 로 구우면 됩니다. 하지만 USB 에다가 설치할때는 약간 복잡합니다. 차례대로 따라 해 봅시다. 먼저 1 GB 이상의 USB 를 준비합니다. 기존의 사용하고 있던 USB 의 경우는 파일을 지웠다 썼다 하다 보면 조각화 현상이 일어나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처음에 Format 을 해주면 이런 조각화는 신경쓸 필요가 없습니다. 먼저 USB 를 꼽고 포맷을 해줍니다. 이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보통 HP USB Disk Storage Format Tool을 사용합니다.

HP USB Disk Storage Format Tool v2.18  

SP27608.exe

 

FAT32 로 하면 부팅속도가 빠르지만 4 GB 이상의 파일은 저장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NTFS 로 포맷을 하면 4GB 이상되는 파일도 저장할 수 있죠.  Volume label 은 자기가 주고 싶은 적당한 값을 적고, 그리고 Start를 눌러줍니다.

포맷이 끝났으면 이제 USB 의 파티션과 부트 섹터 정보를 손봐줘야 합니다. Grub4Dos Installer 1.1 이 알아서 해주므로 우리는 그냥 버튼만 몇번 깔짝깔짝 해주면 된다. 

 grubinst-1.1-bin-w32-2008-01-01.zip

이제 Install 이 끝났으면 Hiren's BootCD의 ISO 파일을 Daemon Tools 나 UltraISO로 열어서 전부 USB 플래쉬 드라이브에 복사해줍니다.

이제 복사가 끝났으면 부팅시 메뉴에서 한글로 표시하기 위해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폰트 설정 작업을 해주어야 합니다. 

루트에 있는 menu.lst 안의 내용을 열어 수정해줍니다. 제일 윗 쪽 부분을 보면 default /default 가 있는데 바로 밑에 아래처럼 두 줄을 추가해줍니다. unifont.hex.gz 파일은 ISO 폴더안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저장할때는 반드시 UTF-8 로 저장해주어야 합니다.

default /default
graphicsmode -1 640:800
font /ISO/unifont.hex.gz

write (md)0x220+1 !BAT\necho -n -P:0000 $[0107] Hiren's BootCD 15.2 \0 && initscript (md)0x220+1

title Boot From Hard Drive (Windows Vista/7/2008 or Xp)\n
find --set-root --ignore-floppies --ignore-cd /bootmgr || find --set-root --ignore-floppies --ignore-cd /ntldr || rootnoverify (hd0) && chainloader +1 && boot
map () (hd0) && map (hd0) () && map --rehook
find --set-root --devices=h /bootmgr || find --set-root --ignore-floppies --ignore-cd /ntldr
chainloader /bootmgr || chainloader /ntldr

title \n
root

title Win10 PE 비트코인 (At least 2GB RAM)
find --set-root --ignore-floppies /ISO/Win10PESE_x64.ISO
map /ISO/Win10PESE_x64.ISO (hd32) || map --mem /ISO/Win10PESE_x64.ISO (hd32)
map --hook
chainloader (hd32)

title Windows Password Crack ophcrack v3.8.0
find --set-root /ISO/ophcrack-notables-livecd-3.6.0.iso
map /ISO/ophcrack-notables-livecd-3.6.0.iso (hd32) || map --mem /ISO/ophcrack-notables-livecd-3.6.0.iso (hd32)
map --hook
chainloader (hd32)

이제 폰트 설정작업이 끝났으므로 한글이 지원되는 grub4dos 를 복사해주어야 합니다. 첨부파일 grub4dos-0.4.5c-2012-10-02.7z 에서 grldr 만 USB의 루트에 복사해줍니다.

http://grub4dos.chenall.net/downloads/grub4dos-0.4.5c-2012-10-02/

이제 아래 화면과 같이 중국어 간체, 일본어, 중국어 번체, 한국어 지원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Hiren's BootCD v15.2 에 들어있는 grub4dos 는 0.4.5c 2012-10-02 일자 버전입니다. 

 

grub4dos-0.4.5c-2012-10-02.7z (유니코드 지원버전)

unifont.hex.gz

 

이제 마지막으로 해줄 작업은 Hiren's BootCD v15.2 에 있는 \HBCD\XP\XP.wim 을 한글 버전으로 바꿔주기만 하면 됩니다. 네이버에서 "miniXP 한글 입출력 버전" 으로 검색하면 사칠공공님 블로그에 있습니다.

안에 프로그램들을 최신 버전으로 바꿔주고 싶다면 \HBCD\Programs\Files\ 에 있는 7Zip.7z 를 이용해서 바꿔주면  됩니다. WinRar 로 바꾸려고 하면 delete 부분이 disable 상태로 표시되면서 안에 내용은 바꿀수 없습니다.

그리고 BIOS에서 부팅 순서를 USB 로 바꿔주고 테스트해보면 끝~~

USB Image Tool v1.64

Posted by Programmer™
2014. 3. 28. 05:56 Utility

 나중에 USB로 여러가지 작업을 하다 보면, 인식 불가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 때를 대비하여 초기 백업을 만들어둔다. 

 MD5 체크섬 파일 생성을 해야 나중에 다시 복구 하기전에 파일이 깨졌는지, 정상인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체크하기 바란다.

압축이 지원 되지 않는 그냥 ISO 형식으로 저장하면 USB 용량만큼의 파일이 생성되므로 .imz 를 선택해준다.  

 시간은 꽤 걸린다. 40분 넘게 걸린듯...

 

압축된 이미지 형식인 .imz 로 저장된 최종 파일 크기는 1.02 GB 정도 나왔다.

 

Download USB Image Tool 1.64 (ZIP, 216 KB)

usbit_v1.64.zip

실행이 안 되는 경우는 먼저 Microsoft .NET Framework 3.5 Service Pack 1 을 설치하기 바란다.

최신 버전은 http://www.alexpage.de/usb-image-tool/download/ 에서 받을 수 있다. 저작자의 홈페이지에 가면 Empty Bootsector 등 유용한 여러가지를 받을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