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크래프트 업데이트 패치하기

Posted by Programmer™
2013. 12. 27. 15:09 Game

스타크래프트 최신 업데이트 패치를 설치시, 게임을 다시 인스톨 해달라는 메시지와 함께 패치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아래 레지스트리 키값만 등록해주면 된다.

enablepatch.reg

위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던지 아니면 아래 처럼 설치된 경로 내용을 편집해주면 된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URRENT_USER\Software\Blizzard Entertainment\Starcraft]
"InstallPath"="C:\\Game\\Starcraft"

 

2013 년 12 월 27 일 현재 최신 패치는 1.16.1 버전이다. 패치를 적용시키면

1. patch.txt  2. bnupdate.log  3. Patch_rt.mpq  4. bnupdate.exe

의 파일 4개가 업데이트된다.

 

Starcraft and Brood War Patch Information

--------------------------------------------------------------------------------
- patch 1.16.1
--------------------------------------------------------------------------------

Feature Changes

- In-game Speed Options menu now has a "Enable CPU Throttling" checkbox.
  Enabling this option will allow StarCraft to consume fewer CPU cycles. By
  default this option is off.

Bug Fixes

- Fixed an issue with the reply feature where any character followed by a "r "
  was being treated as a reply.
- Removed an unnecessary delay when processing palette cycling updates.
- Lessened the imposed delay in the CPU Throttling feature.

AVG 2014 이벤트 기록 로그 삭제하기

Posted by Programmer™
2013. 11. 25. 02:52 Utility

AVG 2014 이벤트 기록 로그 삭제하기

AVG2014 의 "옵션 - 기록 - 이벤트 기록 로그" 를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 화면이 나온다. 사용을 오래 하다 보면 이 로그가 계속 누적되어서 한눈에 보기 힘들때가 있다. 그럴 경우에 깨끗이 전부 지우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2014 버전은 AVG 공식 포럼에서 밝혔듯이 삭제하는 메뉴나 버튼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동으로 삭제해줘야만 한다. 

 

Windows XP 의 경우에는 C:\Documents and Settings\All Users\Application Data\AVG2014\log 폴더를 보면 history.xml  파일을 찾을 수 있다. 바로 이 파일을 삭제하면 이벤트 로그가 완전히 비워지는 것을 볼 수 있다.

 

 

USB로 CD 영역을 만들어보자.

Posted by Programmer™
2013. 4. 27. 16:18 Utility

특정 USB 를 보면 포트에 연결시, CD-ROM 영역과 이동식 디스크 영역 2개가 만들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어떻게 하는 것일까?

1. 먼저 순정 ISO 이미지 파일을 구한다. 트윅된 버전은 여러가지 호환성 문제가 많으므로 가급적 MSDN 에서 나온 순정 이미지를 권장한다. 

필자의 경우는 K 버전 보다는 KN 버전을 선호한다. (K 버전 설치시는 Windows Media Player 9 버전과 MSN Messenger, Windows Movie Maker 가 설치되는데 구 버전이므로, 차라리 KN 버전 설치후 추가로 신버전을 설치하는게 훨씬 낫다)

ko_windows_xp_professional_kn_with_service_pack_3_x86_cd_vl_x14-78419.iso
언어: Korean
SHA1:723f0206cf09e5c8693de5eeaee7da849e734bc8

순정 이미지를 구했다면 HashMyFiles 같은 프로그램으로 SHA1 값이 정확히 일치하는지 확인해보자.

2.  필자의 경우 사용할 USB 는 TwinMOS 에서 나온 M1 Mobile Disk USB 2.0 1GB 모델이다.

 

USB로 CD 영역을 만들 경우, USB Disk 에 사용되는 칩에 따라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달라지므로 주의를 요한다. USBDeview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컴퓨터에 연결되었던 USB 제품들의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위 사진 모델의 경우 (TwinMOS) VenderID: 126F    ProductID: 0163 가 표시된다.  MLC 임을 알 수 있다.

 

위 모델이 아닌 다른 모델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USB가 뻑 날수도 있으므로 주의(ㅋㅋ)를 요한다. 

3. UCDExec 라는 프로그램을 구해 실행해보면 아래 화면과 같다. 1GB 제품의 경우 984 MB 로 나오면 정상이다.

 

4. 먼저 USB 내부에 CD 영역으로 만들기위해 사용할 CD 이미지 파일을 불러준다.

 

4. 이미지 파일을 불러들인 후의 화면이다. CD 영역 생성후 남는 용량은, 자동으로 일반 USB 영역으로 만들어진다. 여기서는 초록색으로 표시된 368 MB 가 일반 USB 처럼 사용할수 있는 용량이고, 오른쪽 파란색으로 표시된 616 MB 는 우리가 불러들인 XP 이미지 파일이다. 

5. 이제 Burn 을 클릭하고 다 만들어질때까지 기다리면 된다. 필자의 경우는 한 30 분 정도 걸린 것 같다. (정확한 시간은 안 재봐서 모르는데 그 정도 걸린것 같음)

6. 다 구워 지면 XP 설치 화면이 자동으로 화면에 뜨게 된다.

7. 이제 윈도우 탐색기에서 제대로 만들어졌는지 확인하면 된다.

(사실 CD 영역은 만들어졌지만 XP 설치는 지원되지 않는다. 괜히 헛수고하지 말기 바란다.)

8. 나중에 CD 영역을 없애고자 할때는 아래 그림과 같이 해주면 된다.

 

--- 끝 --


  

Sandisk Cruzer micro 8GB 로 부팅을 해보자.

Posted by Programmer™
2013. 1. 7. 16:13 카테고리 없음

최근 들어 USB 의 가격이 많이 저렴해져서 누구나 하나씩은 들고다니는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Sandisk Extreme Z80 USB 3.0  32GB 의 경우도 2013년 1월 7일 현재 37,000 원 정도면 구입가능하다.

필자의 경우 478 Slot Type 의 2005년도에 조립한 구형 컴퓨터가 있는데, 아직까지는 인터넷 서핑용으로 그럭 저럭 쓸만하다.

그런데 슬림형 타입의 케이스이다 보니 DVD-ROM 을 세로로 세워서 설치하게끔 되어있다. 세로로 설치하는 경우의 문제는 오랜 시간이 지나다 보면 안의 CD 가 배출이 되지 않고 헛도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는 점이다. 이런 경우 XP 를 한번 설치할려면 정말 짜증아닌 짜증이 밀려오게 마련이다. 그래서 USB 로 XP 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을 하기로 마음을 먹게 되었다.

필자가 사용할 USB 는 Sandisk Cruzer micro 8GB 이다.

 

그림 1. Sandisk Cruzer micro 8GB for USB 2.0

아무래도 해외 메이커이다 보니 폭넓은 사용자층으로 인해서 다양한 설치정보를 공유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andisk Cruzer micro 8GB (이하 Sandisk USB로 약칭) 를 USB 포트에 연결하면 다음의 U3 창이 뜬다.

 

그림 2. USB 포트 연결시 초기 화면

 

윈도우 탐색기를 살펴보자.

 

I: (U3 System), J: (이동식 디스크) 2개의 드라이브가 새로 생긴 것을 볼 수 있다.

위에서 알수 있듯이 Sandisk USB 는 CD-ROM 영역과 일반 USB 영역 2개를 가지고 있다. 그냥 무턱대고 USB Disk Format 툴을 사용하면, CD-ROM 영역까지 삭제되므로

가능한 한 기존의  CD-ROM 영역을 살리면서 작업을 해나가기로 해보자.

 

대략 다음에 과정을 거친다.

 

1. GRUB4DOS 설치.

2. menu.lst 편집

3. Windows XP SP3.ISO 복사

4. 부팅 테스트. 

 

1. GRUB4DOS 설치.

 

 그림.

 

 

 

2. menu.lst 편집

 

3. Windows XP SP3.ISO 복사

 

4. 부팅 테스트

어떤 컴퓨터에서는 부팅이 잘 되는데 어떤 컴퓨터에서는 부팅이 되지 않는 것이다.

( 이런~ 욱시랄 ~ USB 가 사양을 타나 ??? )

나중에 알아본바 BIOS 회사에 따라서 되고 안되고 하는거였다. Phoenix BIOS와 Award BIOS 둘 다 테스트 해본 결과 아래와 같았다.

 

 

 Award BIOS

 Phoenix BIOS

 BIOS 내 인식

 USB-HDD

 USB-ZIP

 부팅 유무

 O

 X

 

위 표를 봤을때 USB-ZIP 을 USB-HDD 로 인식하게끔 하면 혹시 부팅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아래 표는 Technet 에서 발췌한 FAT32 영역 중 확장 바이오스 파라미터 블럭의 설명이다.

위 표를 보면 윈도우즈 2000에서 인식할려면 0x42 부분의 값이 0x28 이나 0x29 로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즉 0x29 로 되어 있으면 USB-ZIP 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 부분을 0x00 으로 바꾸면 USB-HDD 로 인식이 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0x00 으로 되어 있을때 반대로 0x29 로 바꾸면 USB-ZIP 으로 인식하게 된다.

 

 

 

위 처럼 0x42 부분의 값을 0x00 으로 바꿔주고 저장을 한다.

그리고 테스트를 해봤더니 OK~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