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응답을 중지하고 복구됨

Posted by Programmer™
2014. 2. 6. 22:10 Windows 7, 8

곰플레이어 v2.2.56.5181 로 1080p 영화를 보는데

가 수시로 뜬다.

나중에 Flash Player v12.0.0.44 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1280x800)에서 테스트 해 본 결과 flash web cam 창 3개 이상이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응답을 중지하고 복구됨"가 뜨게 된다.

ATI Radeon Xpress 200M 드라이버 삭제 후, 표준 VGA 그래픽 어댑터 설치 후에는 증상이 사라졌다. 대신 화면 가독성은 현저히 떨어진다. 

BIOS에서 SpeedStep 이 켜져 있고, 컴퓨터 - 속성 - 고급 시스템 설정 -  시각효과 - 화면 가장자리 다듬기 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고 한다.

그래서, 원래 ATI Radeon 200M 드라이버 설치를 하고, 스피트스텝이나 가장자리 다듬기 둘 중에 하나만 켜고 Flash Web Cam  창을 5개 띄어보았는데 에러없이 정상으로 돌아간다.

그런데 SpeedStep 을 disable 해 놓았더니 속도가 떨어진다. ㅠㅠ

 

이 문제는 Flash Player 의 문제였다.

Flash Player v12.0.0.70 버전에서 비디오 버퍼가 더이상 채워지지 않는 문제가 해결되었다.

플래쉬 플레이어의 문제도 맞긴 하지만 Radeon 200m 그래픽 드라이버의 문제입니다. 윈도우7에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응답을 중지하고 복구됨"  에러없이 사용할려면 제 글의 2015년 1월달 "윈도우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하기" 글 참고해 주세요.

 

 

Camtasia Studio 3 의 Temp 디렉토리 위치

Posted by Programmer™
2014. 2. 1. 19:57 Utility

Camtasia Recoder 3 을 사용하다 보면 녹화 중에 갑자기 꺼져버리는 경우가 있다.

최신 버전을 사용하면 되기도 하겠지만, 성능이 떨어지는 구형 노트북에서 최신 버전을 사용한다는 것은 여간 곤욕이 아닐수 없다.

그래서 필자는 가볍고 그나마 인터페이스가 깔끔해서 마음에 드는 3.1 버전을 자주 이용한다.

 

옛날 버전의 프로그램은 FileHippo 같은 사이트에서 구할 수 있다.

 한글판 30일 평가판 v3.1.3

camtasia_v3.1.3_kor.sfx.part1.exe 

camtasia_v3.1.3_kor.sfx.part2.rar 

camtasia_v3.1.3_kor.sfx.part3.rar

 

그럼 temp 파일이 어디에 저장되고 있는지 확인해보자.

 

메뉴에서 Tools 를 클릭한다.

 

가장 아래에 보이는 Options... 를 클릭한다. 

 

Temporary file folder 여기에 지정되어 있는 곳이 바로 temp 폴더이다. 이 부분을 프로그램 설치 후, 특별히 사용자가 변경하지 않았다면 그냥 시작 - 실행 - %TEMP% 라고 입력해도 된다.

그러면 CamCaptureXXXXXX 라는 폴더가 보이는데 여기에 저장된다. 

 

XP 알림 사용자 지정 정리하기

Posted by Programmer™
2014. 1. 30. 21:04 Windows XP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알림 사용자 지정에 쓰지도 않는 프로그램들이 누적되어 있다. CCleaner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정리 - Windows - 고급 - 알림 영역 알림 캐시 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지워준다. 작업 관리자에서 explorer.exe 를 프로세서 끝내기를 하고, 파일 - 새 작업(실행...)(N) 에서 다시 explorer.exe 를 실행하면 정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수동으로 한 번 지워보자.

 

보면 지금까지 사용되었던 목록들이 쭉~ 나온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시키고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TrayNotify로 가서 (기본값)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워주면 된다.

 

CTRL + ALT + DEL 키를 눌러서 작업관리자를 실행시킨다. 

목록들 중에서 쭉~ 살펴보면 explorer.exe 가 있는데 선택후 프로세스 끝내기(E) 를 눌러준다.  그리고,  파일 - 새 작업(실행...)(N) 에서 다시 explorer.exe 를 실행한다.

트레이의 알림 사용자 지정을 확인해 보면 과거 사용 목록이 정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ujitsu S7021 BIOS 비프음 증상

Posted by Programmer™
2014. 1. 27. 05:53 Hardware

 

아래 글은 PhoenixBIOS 에만 해당된다. Award, AMI 등의 바이오스는 별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다른 사이트를 참조하시기 바란다.

노트북 Fujitsu S7021의 경우 출고당시 300 만원에 가까웠던 명품이긴 하지만, 한가지 단점이 시스템 팬쿨러의 소음이 고질적인 문제이다. 6 개월 한번씩 쿨러에 기름을 쳐주지 않으면 굉음이 난다. 거기다가 쿨러가 특수형이래서 고장이라도 난다면 부품 구하기가 쉽지 않다. 한국에서 후지쯔가 철수했기 때문에 부품을 구하려면 이베이나 아마존으로 해외구매를 해야 한다. 필자도 쿨러가 소음이 심해서 분해하다가 한번 고장내 옥션에서 17,000원씩이나 주고 중고로 구매했다.

아래는 필자의 노트북의 바이오스 버전이다. (Phoenix BIOS Date : 2007/07/24  v1.08)

비프음 4번 - 메모리 접촉 불량 (메모리를 뺏다가 지우개로 금박부분 지우고 재장착 후 해결)

간혹 아무런 비프음도 나지 않으면서 화면이 나오지 않는 경우(오른쪽 상단의 어플리케이션 LED 와 전원 LED 는 불 들어옴 )가 있는데 이 경우도 메모리 탈착 후 재장착 하니 해결되었다.

 

1 Beep

A single beep from a Phoenix based BIOS is actually an "all systems clear" notification. Technically, it's an indication that the Power On Self Test is complete. No troubleshooting necessary!

 

1 Continuous Beep

One continuous beep isn't an officially listed Phoenix beep code but I know of several instances of this occurring. In at least one case, the solution was to reseat the CPU.

필자의 경우 노트북 키보드 장착 에러인 경우 이 소리가 났다.

1 Short Beep, 1 Long Beep

One short beep followed by one long beep also isn't an officially listed Phoenix beep code but two readers have let me know about this one. In both cases, the problem was bad RAM which replacing obviously solved.

 

1 Long Beep, 2 Short Beeps

One long beep followed by two short beeps indicates that there has been a checksum error. This means that there is some kind of motherboard issue. Replacing the motherboard should fix this problem.

 

1-1-1-1 Beep Code Pattern

Technically, a 1-1-1-1 beep code pattern doesn't exist but I've seen it and many readers have too. Most often, it's a problem with the system memory. This Phoenix BIOS issue is usually corrected by replacing the RAM.

 

1-2-2-3 Beep Code Pattern

A 1-2-2-3 beep code pattern means that there has been a BIOS ROM checksum error. Literally, this would indicate an issue with the BIOS chip on the motherboard. Since replacing a BIOS chip is often not possible, this Phoenix BIOS issue is usually corrected by replacing the entire motherboard.

 

1-3-1-1 Beep Code Pattern

A 1-3-1-1 beep code pattern on a PhoenixBIOS system means that there has been an issue while testing the DRAM refresh. This could be a problem with the system memory, an expansion card, or the motherboard.

 

1-3-1-3 Beep Code Pattern

A 1-3-1-3 beep code pattern means that the 8742 keyboard controller test has failed. This usually means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currently connected keyboard but it could also indicate a motherboard issue.

 

1-3-4-1 Beep Code Pattern

A 1-3-1-1 beep code pattern on a PhoenixBIOS system means that there is some kind of issue with the RAM. Replacing the system memory usually fixes this problem.

 

1-3-4-3 Beep Code Pattern

A 1-3-1-1 beep code pattern indicates some kind of issue with the memory. Replacing the RAM is the usual recommenda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1-4-1-1 Beep Code Pattern

A 1-4-1-1 beep code pattern on a PhoenixBIOS system means that there is an issue with the system memory. Replacing the RAM usually fixes this problem.

 

2-1-2-3 Beep Code Pattern

A 2-1-2-3 beep code pattern means that there has been a BIOS ROM error, meaning an issue with the BIOS chip on the motherboard. This Phoenix BIOS issue is usually corrected by replacing the motherboard.

 

2-2-3-1 Beep Code Pattern

A 2-2-3-1 beep code pattern on a PhoenixBIOS system means that there has been an issue while testing hardware related to IRQs. This could be a hardware or misconfiguration problem with an expansion card or some kind of motherboard fail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