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2개의 글

그림 보기의 최강자 IrfanVIew

Posted by Programmer™
2014. 7. 26. 20:42 Utility

 

필자는 사진 파일을 볼때 주로 ACDSee 를 사용했었는데, 시스템 사양이 딸리는 이유로 다른 프로그램을 찾게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IrfanView 를 발견했는데 프리웨어인데다가 광고도 없고, 속도도 빠르며, 유니코드까지 지원하니 아주 좋습니다.

 

 

참고로 ACDSee의 경우는 ACDSee Photo Manager 2009(버전 11.0)과 ACDSee Pro 버전 2.5부터 유니코드 지원이 추가되었다. ACDSee Classic v2.13 이나 2009 이전 버전의 경우는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중국어 파일명이나 일본어 파일명으로 된 경우 볼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http://www.irfanview.com/

 

설치는 매우 간단합니다.

 

 

 

 

 

BMP/DIB, GIF, ICO, JPG/JPEG/JPE, PNG, WMF 를 체크해줍니다. 다른 확장자는 그다지 쓰이지 않으므로 굳이 체크할 필요는 없습니다.

 

 

 

 

 

 

 

 

한글판에 친숙한 사용자는 IrfanView 홈페이지의 IrfanView languages 에서 Korean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C:\Program Files\IrfanView\Languages\ 에 압축을 풀어줍니다.

 

그리고 IrfanView를 실행시켜 Options 메뉴의 Properties->Language 에서 Korean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사용자 지정 파일 형식 불러오기에서 JPG|JPEG|GIF|BMP|PNG|PCX|TGA|ICO|WMF|PSD|CUR|

 

를 입력해주면 해당 파일 확장자만 IrfanView 로 볼 수 있습니다.

 

 

 

 

 

오디오 CD 에서 mp3 만들기

Posted by Programmer™
2014. 7. 16. 13:52 Windows 7, 8

오디오 CD 의 파일 .cda 를 mp3 로 변환하려면, 과거에는 Nero 나 winamp 등 다른 프로그램들을 사용했는데, 이제는 윈도우 설치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하면 된다.

 

메뉴가 안 보이는 경우는, 아래 그림처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표시해준다.

메뉴에서 도구 - 옵션을 선택해준다.

아래 그림처럼 선택해준다. "다음 위치로 음악 복사"에서 지정한 곳으로, 변환된 .mp3 파일들이 저장된다. 오디오 음질은 최고 320 Kbps 까지 선택해줄 수 있지만, 본인의 귀가 민감한 편이 아니라면 192 Kbps 정도면 대체로 무난하다. 

앨범명, 음악가, 장르 등 태그를 편집할려면 커서를 놓고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다. 그럼 편집 박스가 표시된다. 

본인이 적고자 하는 앨범명을 적어준다. 안 적어도 되지만 나중에 관리를 위해서는 적어주는게 좋다.

이제 준비 작업은 모두 끝났다. CD 복사 버튼을 눌러준다.

이제 변환작업이 끝날때까지 기다리면 된다.  

 

 

Fujitsu 노트북 일본어 키보드 변환

Posted by Programmer™
2014. 7. 8. 13:26 카테고리 없음

후지쯔 일본내수용 노트북에 한글판 Windows 7 을 설치할 경우 한/영 변환키와 漢字키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별도의 작업을 해주어야만 합니다.

우선 윈도우 7 설치시 3번째 키보드를 선택하면 별도의 조작없이도 Shift + Space Bar 로 한/영 변환을 할 수 있습니다. 단 한/영 변환 키와 한자키를 지원할려면 별도의 작업을 해주어야만 합니다. 

아래는 후지쯔 일본내수용 노트북의 키보드입니다. (자판 갯수는 누가 세워보고 댓글 남겨줘용~ ㅋㅋ)

후지쯔 14" S7021 (S6240, S2110 모두 같은 키보드를 사용합니다. )

한국어 자판 키보드 Model: K032533J2 KR  P/N: CP250352-01 (Sunrex Technology Corp.)

일본어 자판 키보드 Model: K032533L1 JA  P/N: CP191342-02 (Sunrex Technology Corp.)

 

한/영 변환키는 Shift + Space Bar 로 충분하므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고 한자키만 작업을 하겠습니다.

일본어 자판에만 있는 특수키의 스캔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왼쪽 위 ESC 밑에 있는 반각/전각/한자키 = 0x0029
  • 왼쪽 컨트롤키 = 0x001D  
  • Fn키= 없음
  • 윈도우키 = 0xE05B
  • 왼쪽 알트키 = 0x0038
  • 無變換 = 0x007B
  • 스페이스 바=0x0039
  • 變換 = 0x0079
  • 카타카나/히라가나/로마자 = 0x0070
  • 그 옆에 있는 메뉴키 = 0xE05D
  • 오른쪽 컨트롤키 = 0xE01D 
  • Up Arror = 0xE048
  • Down Arror = 0xE050
  • Left Arror = 0xE04B
  • Right Arror = 0xE04D
  • Enter = 0x001C
  • Right Shift = 0xE036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Keyboard Layout]
"Scancode Map"=hex:00,00,00,00,00,00,00,00,02,00,00,00,71,00,7B,00,00,00,00,00

Fujitsu키보드(무변환-한자키).reg

 

Fujitsu키보드(우쉬프트-엔터키대체).reg

 

위의 내용은 무변환키만 한자키로 대체하였습니다. 일본어 입력을 사용하지 않거나, 만약 다른키도 추가로 대체하고 싶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직접 수정하기 바랍니다.

 

안에 레지스트리 편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Keyboard Layout]
"Scancode Map"=hex:
00,00,00,00,  Header: Version Information
00,00,00,00,  Header: Flags
05,00,00,00,  Header: Number of Mappings (변환할 키보드 스캔코드 갯수 + 1)
38,e0,70,00,  Individual Mapping   0x0070 --> 0xe038 (카타카나/히라가나/로마자=0x70 --> 오른쪽 알트키 )
72,00,79,00,  Individual Mapping   0x0079 --> 0x72   (變換=0x79 --> 한영키)
71,00,7b,00,  Individual Mapping   0x007B --> 0x71  (무변환=0x7B --> 한자키)

20,E0,38,E0,  Right ALT key --> Mute key (0xE038 --> 0xE020).
00,00,00,00   Null Terminator (0x00000000)

참고]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hardware/jj128267(v=vs.85).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