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2개의 글

동영상 스크린샷 만들기

Posted by Programmer™
2014. 6. 3. 03:29 Utility

 

동영상 스크린샷을 지원해주는 프로그램들은 많다. 최근 플레이어들은 스크린샷 기능 지원이 기본으로 실려있다. 하지만 고정된 추출 형식으로 본인이 원하는 장면만 뽑아낼려면 할 수가 없다.

이럴때 Serkan Ergun 이라는 분이 2005년도에 만든, 다음에 소개하는 프로그램 Image Grabber II 가 너무나도 유용하다. 나온지 꽤 지난 프로그램이래서, 이미 알고 계신 분들도 많을 것 같다.

 

 다운로드 : ImageGrabberII.zip (C# 으로 만들어졌다네요)

 

 

倚天屠龍記.1986.EP40.DVDRip.2Audio.HALFCD-NORM.mkv 라는 동영상으로 만들어보겠다.

 먼저 확장자가 .mkv 라서 모든 파일로 찾아야 한다. 아래는 각 버튼에 대한 설명이다.

열의 갯수만 지정해주면 줄수는 추출했던 썸네일 갯수에 맞춰 만들어진다. 4 x 5 의 스크린샷을 만들고 싶다면 자동추출 갯수에 20을 입력하고 아래의 Option 윈도우에서 Columns 에 4 를 입력하면 된다. 

Duration: [DURATION] 아래에는 자기가 적고 싶은 글을 임의로 적어줄 수 있다.

아래에 있는 썸네일 풀에서 원하는 장면에다 놓고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클릭하면 레이블을 바꿀 수 있다. 참고로 Image Grabber II .NET 버전에서는 이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다. 

 

작업이 다 끝났으면 Save File 을 클릭해준다.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스크린샷 화면입니다.

원하는 장면만 추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중 혹시 이것보다 더 좋은 프로그램 있으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MeGui 미구이로 720p -> 480p 변환하기 (2)

Posted by Programmer™
2014. 5. 21. 14:20 Utility

Audio 부분의 Encoder Settings 를 Nero AAC *scratchpad* 로 바꿔줍니다.
만약 표시되지 않는다면 neroAacEnc.exe 가 제대로 복사되었는가 확인해보세요. 아래처럼 바꿔주고, 메뉴의 Tools - AVS Script Creator 를 클릭합니다.

Video Input 오른쪽의 ... 를 클릭해서 변환하고자 하는 원본 파일을 불러옵니다.

원본 파일을 지정해주면 아래창이 뜹니다. 여기에서 File Indexer 를 선택해줍니다. 만약에 프레임수를 바꿔주고 싶다면 DirectShowSource 를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원본 동영상이 59.940 fps 인데 이것을 30 fps 로 바꾸고자 할때이다. 프레임 수가 많으면 매끄럽게 재생할수 있다는 장점(특히 축구 경기 같은 경우)이 있지만, 시스템 사양이 떨어지는 기기에서 30 프레임 이상은 낭비입니다. 사양이 떨어지는 기기에서 60 fps 를 재생하면 마치 슬로우비디오 모드처럼 재생되는 현상을 가져오게 됩니다.

아래와 같이 선택해주고 Queue 를 클릭합니다.

.ffindex 와 _track_1_.avs 파일을 만들어주는 작업이 시작됩니다.

FFMS index 를 만드는 작업이 끝나면 아래 화면이 나옵니다.

원본 파일의 해상도가 1280 x 720 임을 알 수 있군요.

Resize 옆의 해상도 부분을 856 480 으로 바꿔주고  Filters 탭으로 가서 Analyse 버튼을 클릭해주고 작업이 끝날때까지 기다립니다.

분석이 끝나면 비어있던 Source type 에 내용이 표시됩니다. 거의 대부분 Progressive 타입입니다.

LOGO 를 넣고자 한다면 여기 Script 탭에서 내용을 추가해줍니다. (MeGUI 로 동영상에 LOGO 넣기 참고. 넣을 필요가 없다면 통과)

Resize Filter가  원하는 필터인지 확인하고 이제 Save 를 클릭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각 내용이 채워진 화면이 나옵니다. Encoder setting 오른족에 있는 Config 를 클릭합니다.

x264 코덱 부분을 설정해주는 화면이 나옵니다.  Show Advanced Settings 를 체크해주면 AVC Profile 과 Level 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 Baseline Profile : 주로 비디오 채팅이나 모바일 쪽 기기를 위한 프로파일이다. 
  • Main Profile: SD (Standard-Definition) 디지탈 TV 용 프로파일이다.
                       2004년에 High Profile 이 나옴으로서 중요도가 많이 사라졌다.
  • High Profile: HD (High-Definition)  디지탈 TV 용 프로파일이다.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채택한 프로파일이다. 

아래는 자주 쓰이는 SD, HD, FHD 해상도의 몇가지만 추려낸 각 Level 에 따른 값들입니다.
우리가 만들려는 해상도는 848 x 480 이므로 Level 3.1 이 적당하겠군요.

※ 보다 자세한 사항은 http://en.wikipedia.org/wiki/H.264/MPEG-4_AVC#Levels 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Level 

Max video bit rate for video coding layer (VCL) kbit/s 

 Examples for high resolution
@ highest frame rate

 Baseline, Extended
and Main Profiles

High Profile

 High 10 Profile

 3.0

 10,000

 12,500

 30,000

 352×480@61.4 (12)
 352×576@51.1 (10)
 720×480@30.0 (6)
 720×576@25.0 (5)

 3.1

 14,000

 17,500

42,000

 720×480@80.0 (13)
 720×576@66.7 (11)

 1280×720@30.0 (5)

3.2

20,000

25,000

60,000

 1,280×720@60.0 (5)

 1,280×1,024@42.2 (4)

4.1

50,000

62,500

150,000

 1,280×720@68.3 (9)
 1,920×1,080@30.1 (4)
  2,048×1,024@30.0 (4)

4.2

50,000

62,500

150,000

 1,280×720@145.1 (9)
 1,920×1,080@64.0 (4)
 2,048×1,080@60.0 (4)

 

 Frame-Type 탭에서 Adaptive B-Frames은  2-optimal 로 해줍니다. 그리고 Update와 OK를 차례로 클릭합니다.

이번에는 AutoEncode 를 클릭합니다. 

Automatic Encoding 창에서 No Target Size 를 선택한 경우 우리가 앞에서 update 해줬던 프로파일 설정에 맞추어 인코딩하게 됩니다.

Average Bitrate 값을 조절하여 만들어질 파일 크기를 대충 알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우리가 update 해줬던 설정내용은 무시됩니다.

이제 설정이 끝났으면 Queue 를 클릭합니다. (자동으로 시작되지 않는 경우엔 Queue 탭에 가서 Start 를 클릭합니다.)

job2 부터 job5 가 끝날때까지 기다립니다.

 

Queue 탭을 보면 각 작업과 진행 상태, 만들어지는 출력 파일등을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드디어 [Caribbeancom]4593.mp4-muxed.mp4 파일이 만들어졌습니다. 이제 스마트폰에 넣고 즐감하시면 됩니다.

MeGui 미구이로 720p -> 480p 변환하기 (1)

Posted by Programmer™
2014. 5. 21. 13:25 Utility

MeGUI 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비디오 변환 프로그램이다. MPEG-4 ASP (xvid), MPEG-4 AVC (x264), AAC, MP2, MP3, Flac, Vorbis, AC3 audio, MP4, MKV, AVI, M2TS 등을 지원한다. 과거에는 VituaDub 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요즘은 MeGui 사용자도 많이 늘어난것 같다.

프로그램은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MeGUI_2525_x86.zip: 76.2 MB ) 받을 수 있으며, 또한 프리웨어이다.

http://sourceforge.net/projects/megui/ 

SourceForge 사이트는 좋은 무료 프로그램들이 많으며 거의 대부분 소스가 100% 공개되므로 프로그래밍 학습하는 사람들에게는 유용한 사이트 중 하나이다. 프로그램 다운로드가 끝났으면 그냥 압축을 원하는 곳에 풀어주면 된다. (필자는 C:\MeGUI_2525_x86\ 에 풀어주었다.)

우선 필자가 하려는 작업은 1080p 또는 720p 의 고화질 동영상을 안드로이드폰에 저장하기 위해 480p 로 다운레이트 시키는 작업이다. 거의 용량을 절반 넘게 줄일수가 있으므로 SD 카드 용량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유용하다. 먼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사전 환경을 만들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K-Lite 통합 코덱 (mega 버전을 다운받아 먼저 설치하기 바란다)

http://www.codecguide.com/download_kl.htm

Avisynth

http://sourceforge.net/projects/avisynth2/

Nero AAC Codec

http://ftp6.nero.com/tools/NeroAACCodec-1.5.1.zip

NeroAACCodec-1.5.1.zip 파일안의 neroAacEnc.exe 를 C:\MeGUI_2418_x86\tools\eac3to 에 넣어준다.  MeGui.exe 를 더블 클릭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메뉴의 Options - Setting 으로 들어간다. 

Default Priority 는 컴퓨터의 자원 점유율을 조절할 수 있는데, 컴퓨터의 사양이 좋으면 High, 낮으면 Low 를 지정해주면 된다. 필자의 노트북은 싱글코어라서 작업 하면서 인터넷 서핑을 하는데는 Below Normal 정도가 적당하였다. Autostart Queue 는 Queue 버튼을 누르자마자 바로 작업을 시작하게 해준다. (수동으로 시작해주려면 이 부분 체크표시를 해제하기 바란다.)  Default Language 는 모두 English 로 바꿔주자. 

Use AutoUpdate 는 해제해주자. Configure AutoEncode defaults.. 를 클릭한다. 

 480 p 작업을 주로 할것이므로 Average Bit 에 1200 을 적어주고 Save 를 클릭한다. 자막을 입히는 작업을 많이 한다면 Add additional content 에 체크표시를 해주면 된다. 하지만 자막을 입히게 되면 나중에 최종 생성된 .mp4 파일에서 자막의 위치를 조정해주는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별로 추천하고 싶지는 않다. 차라리 동영상 플레이어의 자막 위치 기능을 사용하는게 낫다.

 Enable NeroAACEnc에 체크 표시를 해준다. 

Save 를 눌러주고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다시 실행시킨다. 이제 사용하기 위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작업은 모두 끝났다.

스마트폰 자주 다운 증상

Posted by Programmer™
2014. 5. 7. 23:32 etc.,

스마트폰이 다운되는 증상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중에 하나를 소개한다. 최근 microSD 카드의 가격이 많이 저렴해진 이유로 32 GB 이상의 고용량 메모리를 쓰는 사람이 늘어났다.

그런데 기존의 8 GB 이하의 메모리를 쓸때는 문제가 없던 스마트폰이 고용량 메모리로 바꾸서 나서 자주 다운이 된다. 처음에는 아무 생각없이 새로 산 microSD 카드가 불량인가? 아니면 내 휴대폰이랑 궁합이 안 맞나? 인터넷에서 .apk 파일 받아서 설치한 뒤 악성코드 걸렸나?... 여러가지 생각이 든다. 공장초기화도 해보고 불량 섹터가 없는지 윈도우에서 포맷도 해본다. 그래도 여전히 시도때도 없이 다운된다. ㅠㅠ

다시 옛날 쓰던 microSD 카드를 장착해서 구동해본 결과 다운없이 잘 돌아간다. "우쒸~~ 새로 산 microSD 카드가 불량이였네 ???? " 라고 생각하고 AS 받아야지 하고 생각하게 된다.

사실 필자도 그렇게 생각했었다. 하지만, 원인은 윈도우에서 포맷을 시킨게 문제였다.

 

 

SD 협회(SD Association)에서도 다양한 타입의 미디어를 포맷하도록 제공되는 윈도우의 포맷을 사용하지 말고, 가급적 협회에서 제공하는  SD Formatter 를 사용하라고 추천하고 있다. 윈도우에서 제공되는 포맷을 하면 메모리 카드의 성능이 떨어질 수가 있다는 것이다.

SD Formatter 4.0 for Windows 다운로드

SDFormatterv4.zip

SD Formatter 4.0 for Windows 사용자 매뉴얼 (중국어 간체)

SDFormatter_4SC.pdf

최신 SDXC 까지 지원하므로 이제부터 SD Card 포맷할때는 반드시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자. ("Protected Area" 는 포맷해주지 않는다.)

전에 윈도우 탐색기에서 포맷을 해줬다면 처음 한번은 FULL 로 해주자. (잦은 포맷은 SD 카드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SD Card 용량이 이상한 경우 FORMAT SIZE ADJUSMENT 를 ON으로 해주고 포맷하면 원래 용량으로 돌아온다.

 

SD Formatter 4.0 으로 포맷시킨 후 스마트폰에 장착후 사용해보니 이제 다운이 안 된다. ㅎㅎㅎ

참고로 SD Formatter 4.0 으로 포맷시킨 후, 8 GB의 경우 기본할당크기는 8192 바이트, 32 GB 의 경우는 32768 바이트이다.

참고] https://www.sdcard.org/downloads/formatter_4/